전 세계에서 제품 디자인(산업디자인) 국제 공모전 학생 부분에서 가장 많은 수상자를 배출하는 나라가 어디인지 아시나요? 바로 대한민국입니다. 세계에서 가장 훌륭한 예비 제품 디자이너를 가장 많이 보유한 나라가 바로 우리나라라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여러분들이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공산품들의 디자인 수준은 어떻다고 생각하시나요? 다시 묻겠습니다. 애플,소니 제품의 디자인과 삼성, LG의 디자인을 보고 있노라면 어떤 생각이 드시나요? 혹시 디자인 수준이 모자라다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계시다면 왜 그렇다고 생각을 하시나요? 디자인 실력이 없어서? 감각이 부족해서? 개념이 없어서?
충분한 실력을 가지고 있는 대한민국에서, 이 땅의 소비자들이 그리고 전 세계 사람들이 환호 할 만한 디자인을 가진 제품이 나오지 않는 이유는 제조사가 개념 없고, 디자이너가 실력이 부족해서가 아니라, 소비자들이 디자인이라는 가치를 천대하기 때문입니다. 아니라고 생각하시나요? 디자인의 가치를 인정하는 것은 안 좋은 디자인을 욕하는 것이 아니라, 좋은 디자인을 요구하는 것입니다.
이 시대를 사는 대부분의 젊은이들은 부모님과 나라에게 사기당했습니다. "공부만 열심히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될 수 있어" 라는 부모님들의 철석 같은 약속, 그리고 우리 부모님들에게 이 말도 안 되는 약속을 강요하게 만든 내 나라 대한민국. 요즘 세상을 살아가는 젊은이 중 취업문제로 한 시름 안 놓아본 사람이 어디있겠습니까만, 그중에서 디자인 그리고 디자인 중에서도 제품디자인과 관련된 공부를 한 학생들의 상태는 좀 더 암담하다 못해 참담한 수준입니다.
상위 1% 이내라고 할 수 있는 H대학 PD과를 나온 학생도 일 할 곳이 없습니다. 졸업하는 해 운 좋게 삼성전자와 LG전자 같은 국대 대기업에서 새발의 피도 안되게 뽑는 제품 디자이너 자리에 합격하지 못하면, 디자인 전문 회사 몇 곳을 기웃거리다가 결국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로를 선회하는 경우도 속출합니다.
공대로 비교하면 서울대공대,포항공대,카이스트 학부를 졸업한 학생이 실력이 부족해 취업을 못하는 것이 아니라 아예 일 할 자리가 없어, 전전긍긍하다 출판사 사무직으로 취업을 한다는 뜻입니다. "이 쯤에서 예상되는 충고가 하나 있습니다. 디자인 전문 에이전시는 일 할 사람을 못 구해 문제입니다. 학벌 좋다고 유세하지 말고, 조금만 눈을 낮추면 얼마든지 일 할 곳이 있을 텐데요?"
상위 1%의 학생들 중 많은 수가 기회가 찾아오면, 말 그대로 눈 낮춰서 디자인 전문 에이전시에 입사를 합니다. 하지만 그리 오래가지 못하고 그만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 자체가 고되다는 이유도 있겠지만 가장 근본적으로 그들을 아프게 하는 건, 디자인을 하지 않는 디자인 회사들의 잘못된 행태 때문입니다.
국내 굴지의 모든 대기업 일은 다 하더군요. S사, L사, K사 등등등 온갖 갑의 일은 다 받아서 하는 나름 큰 규모던 체제가 한 달간 지켜본 결과는... 그냥 공장이더군요.... 디자인 회사는 개뿔.... 멋모르는 미대/디자인 학부 졸업생들을 취업시켜서는 노동력 착취를 해대더군요...
예비 마누라의 얘기를 들어와 본 바가 있어서 우리나라 대한민국이라는 곳이 디자인은 멍멍이 응아 취급을 하는 것은 알고는 있었지만.. 적어도 예전 다니던 지방 광역시 소재 중소기업에서는 이 정도까지는 아니었거든요. 갑도 그렇고... 디자인을 한다는 회사라는 곳이 이따위로 자기 재원 관리 안 해주고 소모품으로 써먹는 행태를 보니..
몇 년 몇십 년이 가도 가망이 없어 보입니다..
이유 복잡하지 않습니다. 그들이 디자인 전문회사에서 오래 버티지 못하는 이유는 단순히 일이 고되서가 아닙니다. 학부 때부터 밤샘이면 이력이 난 그들이 단지 야근이 많다는 이유로 자신이 선택하고 즐기는 일을 마다할 이유는 없습니다. 가장 근본적인 이유는 바로 그곳에서 디자이너들이 하는 업무는 디자인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가끔 보면 제품 디자인을 단순히 조형작업(모양을 이쁘게 하는)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신데 디자인은 단순히 모양을 창조하는 작업이 아닙니다. 제품 디자인이라는 것은 단순한 모양뿐 아니라, 사용자들의 니즈를 대입한 사용성을 포함해 제품의 모든 가치를 포괄적으로 기획해내는 예민하고 복잡한 기술이자, 종합 예술입니다.
국내 굴지 대기업들이 말도 안 되는 물량을 말도 안되는 시간에 요구하며 강요하는 막일 3D작업의 반복은 결코 디자인 작업이 될 수 없습니다. 그렇다면 제조사들이 이토록 디자인 작업을 별 것 아닌 이미지 노가다 작업쯤으로 여기게 만드는 것일까요?
당연히 그 방향을 원하는 "수요" 때문입니다. 기업은 철저히 이윤을 추구합니다. 당연히 시장이 원하는 가장 최적화된 요구사항을 자신들의 제품에 반영합니다. 현재 대한민국 IT 제품군 소비자들의 수요에는 이 디자인에 대한 가치는 크지 않습니다. 아니 "아예 없습니다." 소비자가 디자인에 대한 수요를 만들지 않는데 기업이 먼저 나서 이 디자인에 대한 가치를 인정하고 존중할 이유가 없습니다.
스마트 스토어 창업만으로 돈 벌기 쉽지 않다. (0) | 2022.10.24 |
---|---|
초보를 위한 디지털 카메라 구매팁 #1. 번들+50mm F1.8은 초보용 렌즈가 아니다. (1) | 2022.09.19 |
용산전자상가 판매스킬 두 번째 "돌리기" 알면서도 당하게 되는 상인들의 밥줄 (남대문수입상가, 테크노마트 동일) (0) | 2022.09.19 |
용산전자상가 판매스킬 첫 번째 "찍기" 소비자의 하루를 날려버리는 특급기술. (남대문수입상가, 테크노마트 동일) (1) | 2022.09.19 |
세계최초 MP3P 개발국이라는 타이틀의 불편한 진실 (1) | 2022.09.19 |
댓글 영역